ELK란?
- 데이터 처리 관련 오픈소스 솔루션인 엘라스틱 서치, 로그스태시, 키바나를 같이 연동하여 사용한다는 의미
- ELK 혹은 ELK스택(ELK Stack), 엘라스틱 스택(Elastic Satck)으로 명명
Elasticsearch : 검색 및 분석 엔진
Logstash : 여러 소스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수집하여 변환한 후 Elasticsearch 같은 'stash'로 전송하는 서버 사이드 데이터 처리 파이프라인
Kibana : 사용자가 Elasticsearch에서 차트와 그래프를 이용하는 시각화 도구
Elasticsearch 설치
- Elasticsearch는 JVM위에서 구동되기 때문에 JDK를 설치해야 합니다.
- JDK는 1.8이상의 버전을 설치해야 합니다. (JDK 버전에 따른 호환성은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1. 빠른 설치
- 다음의 명령어 또는 해당 홈페이지에서 설치파일을 다운받습니다.
(홈페이지 URL : https://www.elastic.co/downloads/elasticsearch)
- rpm 파일을 설치합니다. ( -i 옵션은 install 의미)
- rpm -i elasticsearch-6.2.1.rpm
이로써 설치는 Elasticsearch의 설치는 완료했습니다. (간단하쥬? e-z)
이제는 elasticsearch의 yml파일 설정 및 포트를 open합니다.
2. yml파일 설정
사실 elasticsearch.yml파일은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만약 나중에 문제가 있을 경우 해당 파일을 확인해주세요)
지금은 무엇이 적혀있는지만 확인하도록 합니다.
3. 방화벽 해제
다음은 elasticsearch의 기본 9200번 포트를 open하고 내용을 확인합니다.
다음과 같이 elasticsearch의 구동을 확인했습니다.
+) Internet Explorer에서도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nclusion]
함께 확인한 내용과 같이 elasticsearch의 설치는 비교적 간단했습니다.
ELK를 모두 설치 한 이후에 다양한 내용을 확인하며 포스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LK'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K] Logstash를 이용해 Elasticsearch csv파일 import (0) | 2022.03.07 |
---|---|
[ELK] ELK 설치(Elasticsearch, Logstash, Kibana) (0) | 2022.02.11 |
[ELK] 개념 정리 (0) | 2022.01.04 |
[ELK] 설치 3) Kibana (0) | 2021.12.23 |
[ELK] 설치 2) Logstash (0) | 2021.12.23 |